티스토리 뷰
목차
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시험에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핵심 유형을 엄선했습니다. 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기출문제를 먼저 풀고, 아래에 있는 해설로 정답을 확인하세요.
💥소방설비기사 전기 필기 기출문제 및 정답풀이



1. 옥내소화전 설비에서 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펌프가 작동하게 하는 장치는 무엇인가?
① 감지기
② 유수검지장치
③ 압력스위치
④ 배수밸브
① 감지기
② 유수검지장치
③ 압력스위치
④ 배수밸브
정답: ② 유수검지장치
해설: 유수검지장치는 화재 시 배관 내 유수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펌프를 작동시키는 장치입니다. 감지기와 연동되어 설비를 자동으로 구동하게 합니다.
해설: 유수검지장치는 화재 시 배관 내 유수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펌프를 작동시키는 장치입니다. 감지기와 연동되어 설비를 자동으로 구동하게 합니다.
2. 비상콘센트설비는 다음 중 어느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가?
① 11층 이상 모든 층
② 16층 이상 건물의 지하층
③ 연면적 5,000㎡ 이상 건물
④ 지하층이 있는 7층 이상 건물
① 11층 이상 모든 층
② 16층 이상 건물의 지하층
③ 연면적 5,000㎡ 이상 건물
④ 지하층이 있는 7층 이상 건물
정답: ④ 지하층이 있는 7층 이상 건물
해설: 비상콘센트설비는 고층건물 또는 지하공간에 화재 시 소방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로, 지하층이 있는 7층 이상 건물에 설치가 의무입니다.
해설: 비상콘센트설비는 고층건물 또는 지하공간에 화재 시 소방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로, 지하층이 있는 7층 이상 건물에 설치가 의무입니다.
3. 감지기 회로에서 사용하는 정전압 회로 방식의 장점은?
① 배선이 간단하다
② 감도 조정이 용이하다
③ 혼선이 적다
④ 전압변동에 강하다
① 배선이 간단하다
② 감도 조정이 용이하다
③ 혼선이 적다
④ 전압변동에 강하다
정답: ④ 전압변동에 강하다
해설: 정전압 회로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므로 감지기의 오동작을 줄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합니다.
해설: 정전압 회로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므로 감지기의 오동작을 줄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합니다.
4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공칭 작동온도가 아닌 것은?
① 58℃
② 70℃
③ 90℃
④ 105℃
① 58℃
② 70℃
③ 90℃
④ 105℃
정답: ④ 105℃
해설: 일반적인 감지기는 58℃, 70℃, 90℃ 등이 공칭 작동온도로 사용되며, 105℃는 기준보다 높은 온도로 감지기로 보기 어렵습니다.
해설: 일반적인 감지기는 58℃, 70℃, 90℃ 등이 공칭 작동온도로 사용되며, 105℃는 기준보다 높은 온도로 감지기로 보기 어렵습니다.
5.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축광식 광원 유지시간 기준은?
① 5분 이상
② 10분 이상
③ 20분 이상
④ 30분 이상
① 5분 이상
② 10분 이상
③ 20분 이상
④ 30분 이상
정답: ③ 20분 이상
해설: 축광식 유도등 및 유도표지는 비상 시 최소 20분 이상 발광할 수 있어야 합니다.
해설: 축광식 유도등 및 유도표지는 비상 시 최소 20분 이상 발광할 수 있어야 합니다.
6. 축광식 유도표지에 사용하는 축광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?
① 산화마그네슘
② 탄산칼슘
③ 황산바륨
④ 알루미늄옥사이드
① 산화마그네슘
② 탄산칼슘
③ 황산바륨
④ 알루미늄옥사이드
정답: ① 산화마그네슘
해설: 축광식 유도표지에는 광흡수력이 우수한 산화마그네슘 같은 무기물질이 사용되며, 장시간 발광 지속이 가능합니다.
해설: 축광식 유도표지에는 광흡수력이 우수한 산화마그네슘 같은 무기물질이 사용되며, 장시간 발광 지속이 가능합니다.
7.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수신기의 기능이 아닌 것은?
① 감지기 점검
② 화재신호 수신
③ 자동 소화
④ 경보 송신
① 감지기 점검
② 화재신호 수신
③ 자동 소화
④ 경보 송신
정답: ③ 자동 소화
해설: 수신기는 화재신호 수신, 경보 송신 등의 기능은 수행하지만, 소화 설비 작동은 별도의 제어반 또는 수동 조작으로 이루어집니다.
해설: 수신기는 화재신호 수신, 경보 송신 등의 기능은 수행하지만, 소화 설비 작동은 별도의 제어반 또는 수동 조작으로 이루어집니다.
8. 누전경보기의 경보 동작 기준 전류값은?
① 10mA
② 30mA
③ 50mA
④ 100mA
① 10mA
② 30mA
③ 50mA
④ 100mA
정답: ② 30mA
해설: 누전경보기는 인체 감전 예방을 위해 30mA를 기준으로 경보 동작하게 되어 있습니다.
해설: 누전경보기는 인체 감전 예방을 위해 30mA를 기준으로 경보 동작하게 되어 있습니다.
9. 비상조명등의 점등방식 중 평상시에는 소등 상태이며, 비상 시 점등되는 방식은?
① 상시점등
② 점등보조식
③ 비상점등식
④ 절전점등식
① 상시점등
② 점등보조식
③ 비상점등식
④ 절전점등식
정답: ③ 비상점등식
해설: 평상시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정전 등 비상 시에만 점등되는 방식은 ‘비상점등식’입니다.
해설: 평상시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정전 등 비상 시에만 점등되는 방식은 ‘비상점등식’입니다.
10. 감지기 배선방식 중 개방회로의 단점은?
① 선로 저항 증가
② 감도 불안정
③ 단락 시 경보 불능
④ 전압 강하 증가
① 선로 저항 증가
② 감도 불안정
③ 단락 시 경보 불능
④ 전압 강하 증가
정답: ③ 단락 시 경보 불능
해설: 개방회로 방식은 단선에는 강하나, 단락이 발생하면 경보가 작동하지 않아 안전에 취약합니다.
해설: 개방회로 방식은 단선에는 강하나, 단락이 발생하면 경보가 작동하지 않아 안전에 취약합니다.



11. 유도등의 전원은 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?
① 교류 380V
② 축전지
③ 전동기
④ 태양광
① 교류 380V
② 축전지
③ 전동기
④ 태양광
정답: ② 축전지
해설: 유도등은 정전 시 점등되어야 하므로 주로 자체 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합니다.
해설: 유도등은 정전 시 점등되어야 하므로 주로 자체 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합니다.
12. 감지기의 감도 시험 기준 시간은?
① 20초 이내
② 30초 이내
③ 60초 이내
④ 90초 이내
① 20초 이내
② 30초 이내
③ 60초 이내
④ 90초 이내
정답: ③ 60초 이내
해설: 화재 발생 후 60초 이내에 감지기가 반응하도록 시험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
해설: 화재 발생 후 60초 이내에 감지기가 반응하도록 시험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
13. 수신기의 화재표시등이 점등되는 조건은?
① 정기점검 시
② 전원 차단 시
③ 감지기 작동 시
④ 경종 작동 시
① 정기점검 시
② 전원 차단 시
③ 감지기 작동 시
④ 경종 작동 시
정답: ③ 감지기 작동 시
해설: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수신기의 화재표시등이 점등되며, 경보 신호가 전달됩니다.
해설: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수신기의 화재표시등이 점등되며, 경보 신호가 전달됩니다.
14.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의 설치 높이가 8m 이상인 경우 사용하는 감지기는?
① 정온식 감지기
② 분포형 감지기
③ 차동식 감지기
④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
① 정온식 감지기
② 분포형 감지기
③ 차동식 감지기
④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
정답: ④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
해설: 높은 천장의 경우 연기 확산을 포착하기 위해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를 사용합니다.
해설: 높은 천장의 경우 연기 확산을 포착하기 위해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를 사용합니다.
15. 2선식 감지기 회로의 장점은?
① 경보음이 크다
② 배선 수 절약
③ 수신기 고장 시 대처 가능
④ 내구성이 높다
① 경보음이 크다
② 배선 수 절약
③ 수신기 고장 시 대처 가능
④ 내구성이 높다
정답: ② 배선 수 절약
해설: 2선식은 배선이 적게 들어 배관·배선 공사에서 효율적입니다.
해설: 2선식은 배선이 적게 들어 배관·배선 공사에서 효율적입니다.
16. 비상방송설비의 우선 방송 순위 중 가장 높은 것은?
① 방송국 방송
② 일반 방송
③ 수신기 연동 방송
④ 비상마이크 방송
① 방송국 방송
② 일반 방송
③ 수신기 연동 방송
④ 비상마이크 방송
정답: ④ 비상마이크 방송
해설: 비상방송설비는 수동 음성 안내가 가장 우선이므로 비상마이크 방송이 최우선입니다.
해설: 비상방송설비는 수동 음성 안내가 가장 우선이므로 비상마이크 방송이 최우선입니다.
17. 누전차단기의 시험버튼 동작은 어떤 기능을 확인하기 위함인가?
① 온도센서 확인
② 전류변화 감지
③ 작동시험
④ 감도보정
① 온도센서 확인
② 전류변화 감지
③ 작동시험
④ 감도보정
정답: ③ 작동시험
해설: 시험버튼은 실제 누전이 없더라도 회로를 인위적으로 개방해 작동 확인을 위한 시험입니다.
해설: 시험버튼은 실제 누전이 없더라도 회로를 인위적으로 개방해 작동 확인을 위한 시험입니다.
18. 화재신호와 경보 방식 중 복합형 경보방식의 예는?
① 경종
② 사이렌
③ 경광등 + 경보
④ 문자표시기
① 경종
② 사이렌
③ 경광등 + 경보
④ 문자표시기
정답: ③ 경광등 + 경보
해설: 복합형 경보는 시각 및 청각적 요소를 함께 사용하여 빠르게 피난을 유도합니다.
해설: 복합형 경보는 시각 및 청각적 요소를 함께 사용하여 빠르게 피난을 유도합니다.
19. 누전경보기의 주된 설치 목적은?
① 전선절단 확인
② 과부하 경고
③ 감전 및 화재 예방
④ 습기 감지
① 전선절단 확인
② 과부하 경고
③ 감전 및 화재 예방
④ 습기 감지
정답: ③ 감전 및 화재 예방
해설: 누전 시 즉시 차단하거나 경보를 울려 감전과 화재 위험을 줄입니다.
해설: 누전 시 즉시 차단하거나 경보를 울려 감전과 화재 위험을 줄입니다.
20.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‘예비전원’은 어느 시간 이상 작동 가능해야 하는가?
① 10분
② 20분
③ 30분
④ 60분
① 10분
② 20분
③ 30분
④ 60분
정답: ④ 60분
해설: 예비전원은 정전 시에도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최소 6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.
해설: 예비전원은 정전 시에도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최소 6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.